건물이 불이 난 경우 일단 빨리 움직여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이때 엘리베이터가 아닌 계단을 이용하고 자세를 낮춰 연기 흡입을 줄입니다. <br /> <br />물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는 것도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[염건웅 / 유원대학교 경찰소방행정학부 교수 (YTN 뉴스퀘어 10AM) : 손수건이라든지 이런 것으로 막으신 다음에 그걸 물로 적시면 더 좋습니다. 물로 적셔서 유독가스를 최대한 들이마시지 않게 한 상태에서 비상구로 탈출을 하셔야 되는데 여기서 일단 엘리베이터는 절대로 타시면 안 돼요.] <br /> <br />50층 이상 초고층 건물은 30개 층마다 피난 안전 구역이 설치되어 있는데, 무리해서 밖으로 나가기보다는 가까운 피난 안전 구역으로 피하는 게 낫습니다. <br /> <br />[공하성 /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: 일반 고층 빌딩은 피난 동선이 길 수밖에 없어요. 그래서 피난 안전구역을 둬서 피난 동선을 짧게 만든 거죠.] <br /> <br />그런데, 부천 호텔 화재처럼 복도에 연기가 가득 차 밖으로 대피할 기회를 놓쳤다면 물수건으로 문틈을 막아 유독가스가 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조치하고 안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것도 방법입니다. <br /> <br />머리 위로 샤워기를 틀어놓으면 수막을 형성해 일시적으로 유독가스를 막아줄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사고에서도 화장실 문틈을 모두 막고, 얼굴과 몸에 물을 뿌리며 버틴 여성이 극적으로 구조됐습니다. <br /> <br />[이송규 / 한국 안전전문가 협회장 (YTN 뉴스UP) : 왜냐하면 다른 곳의 연기에 의해서 90%가 사망하기 때문에 그래서 문을 닫고 화장실에 대피한다든지. 또 중요한 건 각 가정에 KS 규격의 화재방독면이 있으면 그걸 끼고 화장실에 간다고 하면 굉장히 안전한 상황이 되죠.] <br /> <br />최후의 대피 수단은 에어 매트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에어매트로 뛰어내린 투숙객들이 숨지면서 설치와 관리가 제대로 됐는지 논란이 불거진 상황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안전한 낙하 위치와 자세를 숙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설명합니다. <br /> <br />[이용재 / 경민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(YTN 뉴스퀘어 2PM) : 정자세라는 게 뭐냐 하면 엉덩이 부분이 안전매트에 먼저 닿는 게 제일 중요해요. 입도 다물고. 왜냐하면 내장 손상이나 이런 걸 방지하기 위해서…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불이 난 뒤 대피 요령을 익히는 것도 중요하지만, 스프링클러나 방화문 설치 등 화재 피해를 줄이기 위한 시설 설치와 관리도 더 신경 써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YTN 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82711353794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